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피에스테리아 피시시다

덤프버전 :

피에스테리아 피시시다
파일:external/www.vims.edu/PSLow.jpg
학명 Pfiesteria piscicida
teidinger & Burkholder
분류
진핵생물역(Eukaryota)
계통군SAR 상군(SAR supergroup)
하계피하낭하계 Alveolata
아문와편모충아문 Dinoflagellata
와편모조강 Dinophyceae
피토디날레스목 Phytodiniales
피에스테리아과 Pfiesteriaceae
피에스테리아속 Pfiesteria
피에스테리아 피시시다 P. piscicida

1. 개요
2. 특징
3. 감염증상



1. 개요[편집]


24단계로 변신할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한 미생물. 어류를 감염시킨다.


2. 특징[편집]


1. 평소에는 아메바 상태로 존재한다.
2. 물고기가 접근 시 편모형태로 변신, 독소를 방출해서 물고기를 죽게 하고, 다시 아메바 형태로 변해 물고기의 시체를 먹는다.
3. 조류를 섭취해 그 엽록소로 광합성을 한다.
4. 이도 저도 안 되면 껍질로 스스로를 둘러싸 구체가 되어 휴면상태가 된다.
5. 독소는 인간에게는 기억장애, 두통, 피부병, 호흡곤란 등을 일으킨다.
연구실에서 이 냄새를 맡게 된 연구자는 현기증, 기억상실, 피로감, 천식 증세를 앓았다.
메릴랜드주 포코모크강에서 수영하던 10여 명의 사람들이 기억력 상실, 피부손상 등을 앓은 적도 있다.

1991년 노스캐롤라이나 해안에서 첫 발견되었을 때 대서양 청어 100만 마리를 몰살시키는 위력을 선보였으며 지금도 세계 각지에서 물고기를 몰살시키느라 바쁘다.


3. 감염증상[편집]


물고기가 감염되었을 경우의 증상

1.백점처럼 몸에 햐얀 뭔가가 생긴다.
2.몸에 비늘이 빠지고 붉게 피부가 부으며, 지느러미 끝이 하얗거나 검어진다.
3.죽을 때 점프를 하고 뒤집어져서 고통스럽게 헤엄치고 다른 종을 갑자기 물고 죽는 등, 발광을 하다가 괴롭게 죽는다.
간, 신장 등 면역체계와 신경조직을 파괴시켜 물고기를 죽음으로 이끈다.
4.웬만한 약품이 일절 통하지 않으며, 천적도 마땅히 없고, 걸리면 그 수조와 그 종은 포기해야한다.

...이지만, 생각보다 무섭지는 않다는 설이 지배적.

사람에게 미치는 해악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며, 변신형태 중 아메바 형태는 존재하는지 의심이 된다고 한다. 분명 위대하긴 하지만, 조금 부풀려진 감이 있는 녀석. 참조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24 17:03:39에 나무위키 피에스테리아 피시시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